국민지원금 대상자 확인 방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9월 6일! 바로 국민 지원금을 순차적으로 신청하는 날인데요! 자신이 대상자인지, 얼마를 수령하고 언제 신청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의 약 88%를 대상으로, 1인당 25만원씩 지급받는 국민 지원금(5차 국민 지원금) 지급이 9월 6일부터 시작이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1인 가구 기준으로 2021년 6월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이 17만 원 이하이고

 

4인 가구의 경우에는 직장 가입자 기준 

■ 외벌이는 31만원, 이하일 경우 지급 대상이다.

■ 맞벌이는 39만원, 이하일 경우 지급 대상이다.



■ 국민지원금의 지급 신청은 온라인은 9월 6일,

■ 오프라인은 9월 13일부터 신청 가능하며, 10월 29일까지 진행이다.

한편 국민지원금은 신청 다음 날에 지급 예정이며 주소지의 지역상품권 가맹점에서 12월 31일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이번 포스팅은 국민지원금의 지급시기, 대상 확인방법과 신청방법 등 관련 내용에 대해 정리하여보았는데요 신청하실 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국민지원금 지급기준 안내

■ 국민지원금은 소득 수준으로 지급대상이 정해집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2021년 6월 본인부담 건강보험료의 가구별 합산액을 기준으로 한다.


■  1인 가구는, 직장·지역 가입자 여부와 상관없이 6월 건보료가 17만원 이하일 경우 지원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  이는 연봉 5800만원 이하의 직장 가입자에 해당하는 건강보험료이다.

 
■ 2인 이상 가구의 경우, 외벌이 4인 가구의 경우 직장 가입자는 31만 원, 

■ 지역 가입자는 35만원 이하일 경우에 수령 가능하다.


■ 또한 가구 내 소득원이 2인 이상인 맞벌이 가구라면, 가구원이 한 명 더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해당 기준이 적용이다. 

■ 이 때문에, 4인 가구 직장 가입자는 39만 원, 지역 가입자는 43만 원 이하일 경우 국민 지원금 지급 대상이다.


■ 하지만 위의 기준에 모두 부합하더라도, 가구원의 2020년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9억원 초과할 경우, 그리고 2020년 금융소득 합계액이 2천만 원을 넘을 경우에는 국민 지원금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 지급대상자 선정 단위인 가구의 구성원은, 2021년 6월 30일 기준으로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함께 등재된 사람으로 한정되며, 주소지가 다를지라도 건보법상 피부양자인 배우자와 자녀는 동일한 가구로 판단한다.

이번에 국민지원금은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이 지급 대상이나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 있으며, 건강보험 자격을 보유한 재외국민도 신청과 수령이 가능하다.

■ 외국인의 경우, 내국인이 1인 이상 포함된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었으며, 건강보험 자격을 보유한 경우에는 지급 대상에 포함이다.
■ 이번 국민지원금은 가구별 지원 금액 상한이 없으므로 5인 가구 125만 원, 6인 가구 150만 원 등 가구원 수에 비례해 지급되었다.

■ 국민지원금 대상 확인 안내

 


■ 국민지원금 대상자인지를 신청 하루 전인 9월 5일부터 알아보려면 스마트폰에서 ‘국민 비서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면 받을 수 있다.

■ 신청하면, 9월 5일 오전부터 대상자 여부와 지급액, 신청방법, 사용지역, 신청 기한 등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 국민 비서 알림서비스 신청은 행정안전부의 국민비서 홈페이지, 네이버 애플리케이션과 카카오톡, 그리고 토스어플리케이션에서 가능하다.

▶네이버 어플리케이션

홈 화면 검색창 하단에 ‘국민 지원금, 신청 대상과 일정을 확인하세요’ 배너를 선택 후 ‘국민 비서’ 전자문서를 신청하고 가입 동의 후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면 완료이다.

 


▶카카오톡

 상단 검색창에 ‘국민 비서’를 검색한 후 ‘국민비서 구삐’ 카카오톡 채널을 등록, 이용약관을 확인한 뒤에 가입 동의와 알림을 신청하면 완료이다.


▶토스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 상단 배너 또는 전체 탭 메뉴에서 국민 지원금 알림받기 메뉴를 선택하면 신청이 바로 가능하다.


■ 국민지원금 신청방법 안내


■ 이번 국민 지원금은 온·오프라인, 2가지 방법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단, 신청자가 몰릴 경우를 생각해, 온·오프라인 신청 모두 시행 첫 주 동안은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요일제로 진행이다. 그리고 

■ 지원금 신청은 10월 29일까지 가능하다.


▶ 온라인 신청은,

신용·체크카드 충전 혹은 모바일·카드형 지역사랑 상품권으로 국민지원금 수령을 원할 경우에 선택하면 되며, 위에서 언급했듯 9월 6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다. 그리고 신용·체크카드 충전은 카드사 홈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역사랑상품권은 주소지 관할 지자체 지역사랑상품권 어플리케이션 혹은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지급한다.
특히, 온라인 신청 다음 날 국민 지원금은 충전이 진행되며, 해당 지원금은 기존 카드사 포인트나 지역상품권 잔액과 따로 구분되어 우선 차감이 이다.

 

https://gg-cdis.konacard.co.kr/4136

 

국민지원금

※ 시스템 점검을 위하여 당일 23:30~ 익일 00:30은 서비스 이용이 불가하오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소지의 경기지역화폐 카드를 소지해야 하며, 경기지역화폐 앱에 회원가입 되어있어

gg-cdis.konacard.co.kr

 

▶오프라인 신청은,

 

9월 13일부터 카드사 연계 은행 창구나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면 가능하다. 특히 종이 형태 지역상품권 혹은, 선불카드로의 국민지원금 지급을 원한다면 해당 방법으로 신청하면 이다.
한편, 2002년 12월 31일 이전에 출생한 성인은 개인별로 국민 지원금을 신청하여 지급받게 이다. 하지만, 미성년자의 경우 세대주가 대신 신청하고 지급 받게된다.



■ 국민지원금 사용처 안내


이번 국민 지원금은 수령인 주소지 내의 

▶지역사랑 상품권(지역상품권) 사용 가능 점포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아쉽게도 백화점이나 마트 등에서는 이용이 불가하다.


특별시 혹은 광역시가 주소지인 국민은 해당 특별시·광역시에 있는 지역상품권 가맹점에서, 도에 주소지가 있는 국민이라면, 세부 주소지에 해당하는 시·군 내 지역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다.

한편, 해당 가맹점들은 대부분 전통시장, 동네 슈퍼마켓, 식당, 미용실, 약국, 안경점, 의류점, 학원, 병원, 프랜차이즈 가맹점(편의점, 빵집, 카페, 치킨집 등) 등이다.

 


반면 사용 불가한 곳들은 위에서 잠시 언급했듯, 백화점이나 복합쇼핑몰,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면세점, 외국계 대기업 매장, 대기업 전자제품 판매 직영 매장, 대기업 프랜차이즈 직영 매장, 대형 배달앱, 온라인몰, 홈쇼핑 등이다. ex) 스타벅스, 배민 애플리케이션


https://국민 지원금 사용처. kr

 

국민지원금 사용처 안내 - 메인

 

xn--3e0bnl907agre90ivg11qswg.kr

위의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하고 또한 

카카오 맵에서 국민지원금 사용처를 확인하실수있습니다.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원금 대상: 국민 88%,  2,018만 가구
▼대상 기준: 6월 건보료, 1인 가구 17만 원 이하(연소득 5800만 원 이하)
▼1인 지원금액: 25만 원
▼신청기간: 9월 6일~10월 29일
▼신청 요일제: 9월 6일~10일, 11일부터 요일제 없음
▼신청인: 성인은 직접, 미성년자는 세대주가 신청
▼신청방법: 주소지 주민센터와 신용카드 홈페이지와 앱, 건보공단 홈페이지와 앱
▼지급일: 신청 다음날
▼사용 가능 지역: 주소지 내 지역사랑 상품권 사용 가능 점포, 서울은 서울지역, 경기도 수원시는 수원시에서만 사용 가능
▼사용 불가 업종: 백화점,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카페 직영매장, 대형 배달앱, 홈쇼핑, 면세점 등
▼사용 가능 기간: 2021년 12월 31일까지

■ 국민 지원금 이의제기 안내

 



▶국민 지원금 지급 대상자 선정 기준일, 2021년 6월 30일 이후에 혼인, 또는 출산 등으로 가족관계의 변동이 있을 경우, 또는 건강보험료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의 제기가 가능하다.

 


▶해당 이의신청은 9월 6일부터 온라인 국민신문고나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가능하다.
▶특히 이번 이의신청 또한 첫 주에는 온·오프라인 모두 요일제가 적용되며, 접수기한은 국민지원금 신청 마감일인 10월 29일에서 2주 뒤인 11월 12일까지 가능하다.

 

 

미리 준비하셔서 재난지원금 빠르게 수령하세요! 저는 아쉽게 목요일에 신청입니다! 고생하는 자영업자 소상공인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또 이때를 노려 스미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하는데요 다들 알수없는 번호나 출처에서 오는 문자의 링크는 클릭하시면 안되니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반응형